본문 바로가기
728x90
SMALL

fashion etc/history11

한국사 정리(5)- 고대의문화1 ( 불교, 유교, 도교 ) 신라 상대: 왕실불교- 왕들의 이름이 불교식이 많다. 업설유행(귀족불교)( 업설= 귀족의 이유를 설명하는 수단으로 사용) 호국불교- 신라:황룡사9층목탑, 세속오계 / 백제: 미륵사/ 통일신라: 문무왕릉.감은사 민간신앙 흡수 통일 전 후로 선종 도입 신라 중대: (통일신라로 넘어오는 시기) 원효: 정토종(아미타신앙)- 불교의 대중화 의상: 화엄종 발달시킴( 일즉다다즉일) 왕권강화에 도움. 왕즉불 혜초: 왕오천축국전( 기행문. 지리지 역할) 8C 유일한 생활상 기록 가치 신라 하대: 풍수지리 도입. 선종이 드디어 유행 시작! 참선 / 승탑유행, 9산선문 ( 교육기관 중심) 상대- 고구려: 중앙-태학(소수림왕)/ 지방: 경당(장수왕)- 유학+무술 백제: 오경박사,역박사, 의박사 신라: 임신서기석 중대- 발해:.. 2021. 1. 4.
한국사 정리(6)- 고대의문화 2 고구려 천문도 → 천상열차분야지도 돌무지무덤 → 굴식돌방무덤(입구O,벽화O,도굴O)/ 모줄임천장/벽화( 초기 풍속화 → 사신도 多) 안학궁(평양)(장수왕 남진정책)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왕산악(거문고) 일본과의 교류- 담징(종이,먹,호류사금당벽화), 혜자(쇼토쿠태자의 스승) 수산리고분벽화 → 다카마스고분벽화 서역과의 교류- 각저총:서역인 / 서역 아프라시아브궁전벽화 (고구려) 백제 칠지도(백제와 왜의 관계),금동대향로(부여) 돌무지무덤 → 굴식돌방무덤+ 벽돌무덤(무령왕릉) 미륵사(익산)(무왕) 서산용현리마애삼존상 미륵사지석탑,정림사지5층석탑(평제탑) 일본과의교류-아직기(한자),왕인(논어,천자문),노리사치계(불교) 백제가람양식유행/호류사 백제관음상/고류사 미륵보살반가사유상(목조) 신라 금관,첨성대(선덕여왕.. 2021. 1. 4.
한국사 정리(7)- 중세의 시작 - 고려의 성립과정 고려 ( 약 500년) 고려전기 → 무신정변 → 고려 후기 1. 고려건국-견훤 (918년) 2. 송악천도 (919)(개성) 3. 견훤이 금산사 유폐(935) → 귀순 4. 경주 신라 경순왕의 항복(935) 5. 후백제 멸망 (936) 6. 삼국통일 (후삼국통일) = 고려의 출발 고려 태조-민생안정책(1/10세,흑창= 빈민구제정책), 호족정책(당근:정략결혼/채찍:사심관제도(연대책임),기인제 북진정책: 서경 중시, 청천강~영흥만 영토확장 호족연합정권(왕권 점점 약화) 혜종 → 정종 (BY 왕규의 난 (왕위 쟁탈전)) 광종-(왕권강화시기) 노비안검법(불법노비를 양인으로 복귀), 과거제 시행, 호족 숙청, 공복제정, 칭제건원 경종-시정전시과 성종-최승로의 시무28조 건의 / 2성6부, 국자감 정비/ 지방관 파견.. 2021. 1. 4.
한국사 정리(8)- 고려의 토지제도,문화 수조권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소유권 역분전-개국공신/기준:논공행상 ↓ 전시과-직역의 댓가 = 세습X 1. 시정전시과(경종)-전,현직 지급/관품+인품 2. 개정전시과(목종)-전,현직 지급/관품만!/군인전 3. 경정전시과(문종)-현직에게만 지급 (토지부족현상때문에) 1170년 무신정변 이후 전시과 붕괴 ↓ 녹과전-녹봉X 대신 토지지급/경기지역에 한함.전시과와 과전의 과도기(원종) ↓ 과전법-전,현직/경기지역/(공양왕) 고려의 경제 수취제도와 경제활동 조세,공납,역(요역,군역) 농민안정책-흑창 설치 → 의창 으로 변경 (춘대추납제) (고구려 진대법, 조세감면) 농업- 논농사(이앙법 일부지방에 도입,시.. 2021. 1. 4.
728x90
LIST